2012년의 어느 날, 초등학교 화단에서 주워 온 달팽이를 디지털 카메라로 찍어 네이버 블로그에 올리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십수 년이 지난 지금도 그 순간이 생생하게 기억납니다.
그때는 정말로 초등학생의 낙서장…으로 이용되던 것이었으나, 언젠가부터는 좋은 정보를 제공해 주는 블로그로 가꾸어 나가고 싶어졌습니다.
이후 이런저런 시도를 계속하다가, 2020년쯤에 네이버 블로그를 두고 티스토리로 옮겼고, 5년이 흘러 다시 또 워드프레스로 옮겨오게 되었습니다.
사실 티스토리도 잘 쓰고 있기는 했는데, 제가 옮기기로 결심한 이유는 특별한 것은 아니고, 그저 제게 많은 도움이 되었던 블로그가 워드프레스를 사용하고 있어서입니다. 블로그 활동을 적극적으로 하시는 분들이 워드프레스를 선택하시는 것에는 그만한 이유가 당연히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자유도가 높다 어쩐다 하는 부분은 사실 옮기기로 결정하고 나서 알아본 부분입니다만, 다들 워드프레스로 선뜻 넘어오지 못하는 이유로 호스팅 문제를 들고 있어 이 문제로부터 자유로운 저에게는 딱히 꺼릴 이유가 없었습니다. 오히려 PHP라고 하니 필요한 것이 생기면 내가 좀 만져볼 수도 있을 것 같고…
아무튼 기존 티스토리 블로그가 구글 검색에서 상위에 노출되는 등 적절한 유입 경로를 형성하고 난 상태라, 블로그를 섣불리 옮겼다가 그것들이 전부 깨진 링크가 되면 어쩌나 하는 걱정을 나름 했습니다만, 그래서 블로그를 이전하면서 티스토리 글을 그대로 가져왔습니다.
물론 그렇다고 게시글 링크까지 알아서 맞추어지지는 않는 법이라, 티스토리 블로그의 주소 형식 (https://blog.prws.kr/66) 을 워드프레스에서도 그대로 유지하고 있고, 특히 구글에서 나타나는 것과 다른 게시글로 연결되는 문제가 생기면 안 되기에 게시글 번호까지 티스토리랑 똑같이 맞추어 두었습니다.
아래부터는 글 번호를 맞추는 과정을 남겨 두었습니다.
티스토리 글을 끌어올 방법에 대해 이리저리 시도를 해 보았는데, 티스토리가 RSS를 지원하기 때문에 RSS 불러오기를 이용했습니다.
RSS 피드 주소는 https:// (블로그 주소) /rss 입니다.
제 티스토리에 올라온 글이 딱 50개였던 탓에 가능한 방법입니다. (티스토리 RSS가 지원하는 최대 게시글 수가 50개임)
RSS 파일을 집어넣고 불러오면 이렇게 과거의 게시글이 생깁니다. 그런데… 티스토리에서 나오는 RSS 피드를 그대로 집어넣으면 문제가 생깁니다.
워드프레스 내장 Importer가 맨 위에 올라온 글부터 올려주기 때문에 게시글 번호가 최신 글부터 역순으로 매겨집니다.
그런데 게시글 번호는 글을 삭제하면 결번이 되어서, 이렇게 작업을 잘못 진행하면 게시글을 전부 날려도 소용이 없어집니다. 그렇다고 방법이 아예 없는 건 아니고, 데이터베이스에 직접 접근하여 TRUNCATE TABLE 명령어를 날려주면 됩니다.
posts 테이블과 postmeta 테이블 둘 다 TRUNCATE 하셔야 합니다.. 그러면 데이터가 전부 지워지고 초기 상태로 되돌아갑니다. 다시 작업을 진행해 보았습니다.
결국 간단한 코딩을 가하여 게시글 피드를 역순으로 바꾸어 주었습니다. 그러고 나서 다시 등록했더니 글 번호가 여전히 안 맞습니다.
예.. 티스토리 글 번호에도 결번이 있을 거라는 점을 생각했어야 합니다.
이 상황을 해결하는 것은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저는 중간에 더미 게시글을 집어넣고 나중에 삭제하기로 했습니다.
여기서, <title> 태그에 있는 게시글 제목은 고유해야 합니다. (중복되면 1번만 입력됨)
드디어 https://prws.tistory.com/66 과 https://blog.prws.kr/66 이 서로 일치합니다. 잘 된 것 같습니다.
이제 더미 데이터를 날려주면 됩니다. 저는 더미 게시글 제목을 Dummy + 숫자로 해둬서 Dummy 키워드로 검색한 다음 일괄 삭제했습니다.
티스토리를 남겨둘 생각이면 상관은 없지만, 전 조만간 없앨 생각이 있기에 이미지 파일이 daum CDN인 것은 개선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Cloudflare R2 스토리지에 올려두고 가져다 쓰기로 했습니다. 장래에 저장공간 용량 문제가 생길 것 같아 가급적이면 로컬에는 파일을 두지 않으려 합니다.
이렇게 해서 결국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