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 (ARM64) 환경에서 OpenTTD JGR 서버 열기

친구가 OpenTTD JGR패치 버전을 가지고 서버를 열었는데, 제 서버로 이전을 고려하고 있어 이런저런 테스트를 진행해봤습니다. 그런데 제 서버(라즈베리파이)가 arm64 기반이다 보니, amd64용으로만 올라와 있던 릴리즈는 다운받아 사용할 수 없는 환경이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많은 삽질이 있었는데, 실수로 파일을 날려서 다시 하는 김에 이번 작업을 잘 기록해두고, 후일 저와 같은 시도를 하시는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 적어봅니다.

 

우선 관련 의존성 패키지들은 모두 깔려 있다고 간주합니다.

 

< 작성 환경 >

CPU 아키텍처: AArch64 (ARM64)

OS: Ubuntu 22.04 LTS

OpenTTD 버전: jgrpp 0.50.1

 

https://github.com/JGRennison/OpenTTD-patches/releases

 

Releases · JGRennison/OpenTTD-patches

OpenTTD – http://www.openttd.org/ – with additional patches – JGRennison/OpenTTD-patches

github.com

JGR 패치의 깃헙에서는 지원하는 환경의 파일이 릴리즈에 올라와 있지 않으면 직접 컴파일해서 쓰라고 안내하고 있습니다.

 

우선 아래 명령어로 tar.gz 형식의 소스코드를 가져오고 압축을 해제했습니다.

wget https://github.com/JGRennison/OpenTTD-patches/archive/refs/tags/jgrpp-0.50.1.tar.gzntar -zxvf jgrpp-0.50.1.tar.gz

 

 

그 후 OpenTTD 실행 파일이 들어갈 폴더를 만들고, 그 안으로 이동했습니다.

mkdir serverncd server

 

이제 릴리즈 빌드를 생성하는 옵션(컴파일 속도가 빨라진다는 설명이 적혀 있어 골랐습니다.), GUI 없이 생성하는 옵션 (저는 서버를 돌릴 것이기 때문에 그랬습니다.)을 포함한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make 명령어를 입력하면 본격적인 컴파일이 시작됩니다.

cmake ../OpenTTD-patches-jgrpp-0.50.1 -DCMAKE_BUILD_TYPE=RelWithDebInfo -DOPTION_DEDICATED=ONnnmake

 

cmake 명령어를 입력했는데 뭔가 오류가 발생한다면 필수 패키지가 누락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니 확인 후 다시 시도하시기 바랍니다.

(공식 컴파일 가이드)

https://github.com/JGRennison/OpenTTD-patches/blob/jgrpp/COMPILING.md

 

GitHub – JGRennison/OpenTTD-patches: OpenTTD – http://www.openttd.org/ – with additional patches

OpenTTD – http://www.openttd.org/ – with additional patches – GitHub – JGRennison/OpenTTD-patches: OpenTTD – http://www.openttd.org/ – with additional patches

github.com

 

 

make 명령어를 입력하고 나면, 한참 기다려야 컴파일이 완료됩니다.

 

컴파일이 완료되고 나서 바로 실행했다면, 오류를 접했을 것입니다. 그래픽 셋이 설치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아래 사이트에서 OpenGFX를 설치할 것입니다.

https://www.openttd.org/downloads/opengfx-releases/latest

 

OpenTTD | Download | Latest

For all binaries officially released by us we publish the MD5, SHA1, and SHA256 checksums. You can use these checksums to check whether the file you downloaded has been modified. All three checksums should match the file you downloaded; if this is not the

www.openttd.org

다음 명령어로 설치했습니다. 아래 명령어에서 7.1 을 설치하실 OpenGFX 버전으로 바꾸시면 됩니다. 설치 후 압축을 해제하고 baseset 폴더로 옮겨줬습니다.

wget https://cdn.openttd.org/opengfx-releases/7.1/opengfx-7.1-all.zipnnunzip opengfx-7.1-all.zipnmv opengfx-7.1-all.zip ./baseset

 

이제 준비가 끝났습니다.

아래 명령어로 서버를 시작합니다.

./openttd -D

 

서버가 잘 켜집니다.

포트포워딩 작업을 해 두고 서버 목록에 추가하면 저렇게 나옵니다.

 

openttd.cfg 파일이 생기지 않는 문제 해결하기

그런데… 이렇게 하면 서버 설정에 쓰이는 openttd.cfg 파일이 생기지 않습니다.

원래는 ~/.openttd 폴더가 생성되어야 하지만, 무슨 이유에선지 도저히 생기지 않습니다.

그래서 일단 빈 파일을 만들어봅시다.

cdnmkdir .openttdnnano .openttd/openttd.cfg

openttd.cfg는 빈 파일이 되게끔 만들었습니다.

그 후 OpenTTD 서버를 재실행하고, openttd 콘솔창에 saveconfig를 입력합니다.

그 다음 다시 .openttd 폴더를 확인해보면, 다른 파일들까지 전부 생겨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SC제일은행 ✕ 현대카드 발급기

제 블로그에서 카드상품을 다루는 첫 글인 것 같습니다.

오늘 현대카드가 SC제일은행과 제휴하여 신용카드와 체크카드를 출시했습니다. 제휴상품이기 때문에 SC제일은행 계좌로만 결제계좌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현대카드 홈페이지 설명)
https://www.hyundaicard.com/cpc/cr/CPCCR0621_11.hc?cardflag=J&ctgrCd=050703

 

현대카드

여기를 눌러 링크를 확인하세요.

www.hyundaicard.com

이 중에서 특히 눈여겨봐야 할 점은, 기존에 국내전용으로만 출시되던 체크카드에 드디어 VISA 브랜드를 탑재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현대 체크카드 중 연회비가 없는 첫 카드입니다. (단종상품 중에 있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모든 카드는 VISA 혹은 국내전용으로 발급 가능하며, the Red Edition은 VISA Signature, 나머지 카드는 전부 VISA Platinum을 달고 나왔습니다. 그리고 다른 현대 비자카드와 마찬가지로 비자카드의 NFC 기반 비접촉 결제 브랜드인 VISA Tap to Pay를 지원합니다.

저는 학생이기 때문에 SC제일은행-현대카드 X CHECK 상품을 신청했습니다. 적립률은 M CHECK가 더 높지만 M포인트 1단위와 X캐시백 1단위의 가치 차이, M포인트 사용처 등을 고려하여 X CHECK로 하였습니다.

M CHECK는 마블과 제휴해서 스파이더맨이, X CHECK는 디즈니와 제휴해서 미키 & 플루토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위 사진에서 보시는 것처럼 선택 가능한 디자인은 3종(가로형, 세로형, 디즈니)입니다.
현재는 새로운 디자인이 추가되어 더 많은 종류의 디자인이 있으므로, 홈페이지를 잘 확인 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카드 뒷면입니다. 아마 카드상품명이 위와 같이 프린팅되는 것 같습니다. VISA Platinum 로고가 있고, 그 옆에 비접촉 결제 심볼인 Contactless Indicator가 보입니다.

M CHECK 가로형의 모습입니다. 내용은 세로형과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저는 X CHECK 세로형을 신청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제 신청을 하면 되는데, 만 19세 미만(미성년자)는 비대면 신청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인근 SC제일은행 영업점을 방문했습니다.

신청하면 주는 팜플렛입니다.

창구에서 현대 체크카드 만들러 왔다고 하니 그 날 출시된 상품이라 그런지 은행원이 어떻게 알고 왔냐고 놀라시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만 18세 기준 주민등록증 하나만으로 신청이 가능했습니다. (저는 입출금계좌가 이미 있었습니다. 계좌와 같이 만드실 경우 주민등록등본을 추가로 가져가셔야 합니다.) 등본 요구할까봐 등본도 뽑아서 갔는데, 등본을 요구하지는 않았습니다. 만 17세 이하는 카드 신청 시 필요 서류가 조금 달랐던 것 같은데, 방문 전 고객센터에 한번 문의해 보시기 바랍니다.

가능하면 즉발로 받으려고 했으나, 지점에 있는 자재가 가로형밖에 없다고 하여 세로형으로 신청해 두었습니다. 신청 시 자택이나 직장으로만 배송 가능합니다.

그런데 신청 후 발급처리 되는 데 시간이 좀 걸리는 것으로 보입니다.

## 10.12 추가
카드를 받았습니다.
신청 후 전화로 카드 비밀번호 설정 과정을 거친 후에 SC제일은행 계좌로의 출금이체 등록 문자가 오면 현대카드 앱 신규가입이 가능해집니다.

그러고 나서, 저의 경우 ‘발급 준비 중’ 단계에서 한참 걸렸습니다… 그리고 어제 배송업체로 넘어가서 오늘 도착했습니다.

제휴상품이라 그런지 제일은행 로고가 함께 들어가 있습니다.

뒷면에도 로고가 있네요.

체크카드라서 한도가 전부 0으로 적혀 있는 모양입니다만, 본인이 별도로 정한 적이 없다면 특별히 한도가 있지는 않습니다.

빛에 비추어 보거나 만져 보면 X자 부분의 질감 차이가 느껴집니다.

뒷면 모습입니다.
BIN은 맨 위 사진과 같이 4906 10입니다. 카드는 바이오스마트에서 제조한 것으로 보입니다.

제 첫 제일은행 카드이자 첫 현대카드인데, 비자 컨택리스 기능까지 있어 마음에 듭니다. 제일은행이 주계좌는 아니지만.. 종종 이 카드를 쓰게 될 것 같습니다.

[iCloud+] 내 도메인으로 메일 받기

자기 도메인으로 메일을 이용하고 싶을 때, 보통 다음 스마트워크 등을 많이 이용하는데 만약 본인이 애플 유저이고 iCloud+를 구독해서 쓰고 있다면, 커스텀 메일 도메인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당연하지만 도메인을 가지고 계셔야 합니다.

설정 > 맨 위 자기 프로필 > iCloud로 들어가서 아래로 내려보면 맨 밑에 커스텀 이메일 도메인 항목이 있습니다.

저는 이미 등록한 도메인이 있어서 저렇게 나오지만, 아직 자기 도메인을 등록하지 않았다면 아래 첫 번째 파란 글씨를 눌러 가지고 있는 도메인을 추가해줍니다.

전 혼자 쓰기 때문에 위의 것을 선택했습니다.

전 새로 설정하기 위해 No email addresses를 골랐습니다.

예시 도메인을 추가한 모습입니다. 저렇게 숫자 1이 떠 있으면 추가 설정이 필요한 것입니다.

도메인을 눌러 들어가보면, 저렇게 1이 떠 있는 항목이 또 있습니다.

눌러서 들어가면 도메인 레코드 설정을 하라고 나오는데, 각자의 도메인 관리 페이지를 열어 수정해줍시다. 적혀있는 대로 레코드 이름, 호스트 이름, 값을 모두 입력하고 저장합니다.

설정하고 나오면 아래 버튼이 활성화되어 있는데, 누르시면 됩니다. 만약 설정했는데도 활성화가 안 된다면, 위 버튼을 한번 눌러 들어갔다가 나오시면 됩니다.

만약 SPF 레코드를 확인하라면서 등록이 제대로 안 된다면, TXT 레코드 입력값에서 “를 제외해 보시기 바랍니다.

설정이 완료되고 도메인을 눌러 들어가보면, 이렇게 설정이 보입니다. 가운데 켜져있는 설정은 그 도메인으로 오는 모든 이메일을 받는다는 항목입니다.

일단 내가 쓸 메일 주소를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위 사진에서 Manage Email Address를 누릅니다.

저런 식으로 계정에 할당된 주소 목록이 있는데, 아래 Create Email Address를 누르면 원하는 메일 주소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admin@prws.kr을 추가해봤습니다.

한국에서 중국 전화번호 만들기 (eSender)

중국(중화인민공화국)에 기반을 둔 서비스를 이용하다 보면, 중국 번호가 필요한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그래서 중국까지 날아가서 유심을 살 필요 없이 번호를 발급받아 보겠습니다.
바로 eSender를 이용하는 것인데요, 위챗만 있으면 시작할 수 있습니다.

우선 앱스토어 등에서 위챗(WeChat/Weixin)을 설치하고 회원가입합니다. 중국 번호가 없어도 됩니다.

들어오면 화면 상단 검색창에서 eSender를 검색합니다.

바로 위에 뜨는 이 계정을 누릅니다.

들어가서 Services를 눌러보면 아래 메뉴가 뜨는데, 사진에 표시한 것을 누릅니다.

중국 내 번호 / 홍콩 번호 중 발급할 것을 선택하게 되어있습니다. 저는 중국 본토 번호를 선택했습니다.

일반 번호, 특별 번호, 업그레이드 개통(기존 고객) 버튼이 있습니다. 일반 번호를 선택해줍시다.

이후 페이지는 개인정보 입력입니다.
위부터 순서대로 성별, 성명, 연락처, 신분증 유형, 신분증 번호, 프로모션 코드, 추천인, 이미지 인증 항목입니다.
성명은 여권의 영문성명으로, 연락처는 본인의 한국 번호로, 신분증 유형은 여권으로 하고 신분증 번호는 여권번호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프로모션 코드는 https://www.esenderchina.com/kr/#promo 에서 확인 후 입력하시고, 추천인은 없으면 비워 두셔도 됩니다.

마지막 이미지에 표시된 문자를 입력 후 넘기면 동의 절차가 나오는데, 4개의 체크박스 중 상단 2개 항목에만 체크 후 넘기셔도 괜찮습니다.

그 후 전화번호가 발급되는데, 실명 인증을 하지 않으면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위챗을 들어가보면 이렇게 두 개의 문자가 와 있습니다. 그 중 나중에 온 문자의 아래쪽에 있는 查看详情를 누르면 됩니다.

살짝 내려보면 이렇게 다국어로 된 폼이 있습니다. 그 중 하나를 누르고 뜨는 창에서 Allow를 누르면 제출 폼이 뜹니다.

폼의 내용은
1. 이센더 eSender에서 주문한 중국 대륙 핸드폰 번호
아까 받은 번호(위챗 문자로도 와있음)에서 앞 86을 제외한 숫자를 입력하면 됩니다.
2. 성함
개통 시 작성한 영문성명을 입력합니다.

3. 현재 위치한 지역
4. 현재 있는 위치
둘 다 韩国로 하시면 됩니다.

4번 항목을 선택할 때, 저 Switch to oversea를 누르고 뜨는 목록에서 쭉 내려서 아래 사진처럼 ‘H’ – 韩国 순으로 찾으시면 됩니다.

5. 증명서 형식
‘여권’ 으로 하셔야 합니다.

6. 당신의 증명사진
여권 정보가 기재된 페이지를 펴서 한 장을 찍고, 그대로 뒤집어서 여권 겉표지의 사진을 한 장 찍어서 총 2장을 올리면 됩니다.
선명해야 하고, 네 모서리 전체가 보여야 합니다.

7. 본인의 현재 사진
본인 얼굴을 셀카로 찍어 올리면 됩니다.

8. 서명을 확인하세요
아래 네모칸을 눌러 본인 서명을 하시면 됩니다.

인증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위 사진과 같은 메시지가 옵니다. 여러 날이 지나도 메시지가 안 오면 영어로 메시지를 보내 문의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중국 전화번호를 한번 발급해 보았습니다.
중국 업체에 여권정보를 넘겨주는 것이 꺼림칙할 수 있지만, 서비스 자체는 괜찮다는 평이 많다고 합니다.

한국에서 일본 SIM(QTmobile) 개통하기 (下)

아마 신청이 정상적으로 접수되었다면, 배대지 등을 거쳐 유심이 왔을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개통 과정을 다룹니다.

우측의 포장물을 열면 사진 왼쪽에 있는 내용물이 나옵니다.

편지봉투같이 생긴 것을 열어보면 안에 이렇게 유심 카드가 나옵니다. 미니~나노까지 모두 지원합니다. 본인 폰에 맞는 거로 분리하시기 바랍니다.

그래서 유심을 끼웠더니, 로밍이 안 잡힌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APN 설정을 안 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안드로이드의 경우 모바일 네트워크 설정에서 엑세스 포인트를 지정해주어야 합니다. 도코모망이면 사진에서 위의 표, AU망이면 아래의 표를 참고하면 됩니다.

아이폰의 경우 QR코드를 스캔해 프로파일을 설치하도록 설명서에서 안내하고 있습니다.

굴러다니는 아이폰 하나에 끼우고 설정해봤습니다. KT로 잡히고 일본 외무성에서 해외 안전 문자가 온 모습입니다.

통신사에서도 별도로 안내 문자가 옵니다.

일본 번호로 MIXI M, LINE Pay카드 등을 발급받은 모습입니다.

여기까지입니다. 마치겠습니다.

한국에서 일본 SIM(QTmobile) 개통하기 (上)

[2022년 5월 기준 발급 성공하였습니다.]
현재 결제 수단으로 하나 아멕스 체크카드와 오리지널 JCB 등 한국 카드 일부가 막혔다고 합니다.
그러나 일부 JCB 카드, 삼성 아멕스 등에서 결제 성공이 확인되고 있습니다.

주의: 일본 외 국가에서 SMS 이용 시(수신 포함) 국제 로밍 SMS 이용료 1100엔이 추가 청구됩니다. 개통 전 확인하시어 이용에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

이플러스 등 일본 거주자에게만 제공되는 서비스의 경우 전화번호를 통한 인증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래서 국내 일부 유저들이 일본 전화번호를 직접 개통하는 방식으로 이를 우회한 사례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가장 괜찮은 곳으로 평가받던 iijmio 등 여러 통신사들이 피싱 문자가 늘어나는 사회 문제로 인해 전화번호 개통에서도 본인 확인을 요구하는 경우가 늘어, 현지 거주자가 아니면 전화번호를 개통하기가 상당히 어려워졌습니다.

마침 전화번호가 필요했던 저는 위키피디아에서 일본 MVNO 목록을 뒤졌고, 그렇게 찾아낸 아직 막히지 않은 통신사, QTmobile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거의 유일하게 남은 곳이므로 통신요금이 좀 많이 나가는 건 감수해야 할 것 같습니다.

https://qtmobile.jp 로 들어가줍시다.

사이트 메인입니다. 오른쪽 위 빨간 버튼을 눌러줍시다.

대부분 처음 신청할 것이므로 왼쪽의 초록 버튼을 누릅니다.

엔트리 코드가 대부분 없을 것 같으니 왼쪽 항목을 선택하고, 아래 입력 칸은 비워둔 채 맨 아래 초록 버튼을 누릅니다.

그러면 이렇게 요금제 선택이 뜹니다.
한국에서 문자를 받으려면 해외 로밍이 되어야 하기에, 첫 번째 메뉴에서 도코모(D타입, 맨 왼쪽) 또는 au(A타입, 가운데)회선을 선택해야 합니다. 저는 au를 사용합니다.

그 다음은 데이터+SMS는 필수인 듯한데 통화의 유무를 선택하게 되어 있습니다. 일본 법률 상 통화가 포함된 요금제는 본인확인을 실시하도록 강제되어 있어, 거주자 아니면 못 만듭니다. 따라서 전화가 회색으로 표시된 오른쪽 항목을 고릅시다.

그 다음은 데이터 용량인데.. 저는 문자만 오면 되므로 가장 적은 걸로 골랐습니다.
그 밑은 단말 구입 여부인데, 대부분 SIM 카드만 살 것이므로 왼쪽 항목을 선택합니다.

맨 아래로 내려와 초록 버튼을 눌러 넘어갑니다.

SIM 카드를 선택하라고 나오는데, AU 기준 저거 하나만 떴습니다. 그래서 그냥 밑의 초록 버튼을 눌러 넘어갑니다.

본인이 쓸거냐고 묻습니다. 전 제가 쓸거라서 왼쪽 버튼을 눌렀습니다.

옵션(부가서비스)을 선택하라는데 전 필요 없어서 아무것도 체크 안 하고 넘어갔습니다.

이메일을 주니까 고르라는건데, 알아서 선택하시면 됩니다.
위 선택 항목은 고객이 지정 / 자동으로 생성 여부입니다.

이제 유심 받을 주소를 적어야 합니다.
맨 위는 순서대로 개인 / 기업•단체 여부입니다.
그 다음은 성명인데, 두 칸에 순서대로 성과 이름을 적으면 됩니다. 위의 두 칸은 한자, 밑의 두 칸은 히라가나인데, 윗칸은 한자로 적든 가타가나로 적든 상관없습니다.
그 다음은 성별입니다. (남 / 여)
그 다음은 생년월일인데, 미성년자는 보호자 동의를 받도록 되어 있습니다. 순서대로 연,월,일입니다.
그 다음은 주택의 종류를 고르라는데, 왜 필수정보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적당히 잘 고르시기 바랍니다..

그 다음 주소를 적습니다. 위부터 우편번호, 현/시/구/정•초메, 번지인데, 당연히 일본 국내로만 배송되므로 배송대행지 등의 주소를 적으셔야 합니다. 실제 유심이 발송되는 주소이므로 번지, 층/사서함까지 정확히 적으시기 바랍니다. 대부분 주소가 (일본어) 1-2-3 형식으로 제공될텐데, 이 경우 2-3만 적으시면 됩니다.

그 다음 연락받을 전화번호입니다. 배송업체에 제공되므로 일본어에 자신이 없으시면 배대지 번호로 하시는 게 좋습니다.
그 다음은 이메일입니다. 아까 신청한 것이 아닌 계약 관련 알림을 받을 이메일로 입력하시기 바랍니다. 그 아래 칸에 한번 더 입력합니다.

(이 이후는 스크린샷을 못 찍었습니다)

그 다음은 결제 수단(카드)을 입력해야 합니다.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국내 카드를 거부하는 것 같습니다.
약관에 ‘신용카드‘만 가능(데빗카드 불가)으로 적혀 있었는데, 하나 글로벌페이 체크(아멕스)로 성공했습니다. 이렇게 입력하고 아래 신청 버튼을 눌러 제출(아마 신청 내용이 맞는지 확인하는 페이지가 한 번 뜰 것입니다)하면 신청이 완료됩니다.

주의: 아멕스 카드 사용 시 뒷면의 3자리가 아닌 앞면의 4자리 보안코드를 입력합니다.

신청 완료, 신청 승인, 유심 발송 시 메일이 도착하므로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

이후 과정은 하편에서 다루겠습니다.

Dukascopy 카드 발급받기

참고: 본 게시글의 카드는 Swiss Bankers 카드로 교체되기 이전에 발급 받은 카드입니다.
 
<8/30 추가>
Swiss Bankers쪽으로 카드가 나오기는 했으나, 발급해서 배송받는 비용(25유로인가로 기억합니다), 매 결제 시 1달러/1유로/1프랑 (카드 통화에 따라 상이)의 수수료 등 실사용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Apple Pay를 쓰기 위해 해외 카드를 발급받았다.

YooMoney 카드를 쓰려다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온갖 경제 제재가 생기면서 갈아탈 은행이 필요했다.

만 18세가 안 되는 사람에게는 좋은 은행인 것 같다. 굳이 배대지를 적을 필요도 없고, 대한민국 국적자로서 당당하게 인증받을 수 있다.
<필요 사항>
– 만 14세 이상의 나이
– 휴대전화 번호
– 본인 여권
– 영어 대화 능력
– 40유로의 예치금(카드발급 수수료 9프랑 포함)

https://www.dukascopy.bank/open-account/?lang=en

 

MCA Account Opening Application

EnglishРусскийFrançaisItalianoDeutsche中文HungarianPortugueseEspañolعربى

www.dukascopy.bank

여기서 계좌 발급을 신청하자.

신청 양식을 작성하면 된다.
주소에는 한국 주소로 써도 된다.

이 뒤에 예치금 입금 절차가 있는데, 해외결제 되는 카드를 통해 40유로를 결제하면 된다. 이후 듀카스 계좌로 입금해준다.

무슨 카드를 발급받을지도 같이 선택하는데, 애플페이로만 쓸거면 Virtual Card만 해도 된다. 발급 수수료는 9Fr로 좀 많이 센 편이다.

양식을 다 작성하면 이런 화면이 보인다. 영상통화로 인증하라는거다.

앱스토어나 플레이스토어에서 ‘Dukascopy Connect 911’을 찾아 설치한다.

휴대전화 번호로 로그인하자.

Chat with bank를 누르자.

처음 대화방에 들어가면 하단에 빨간 색으로 VERIFICATION 어쩌구가 적혀있을 것이다. 그걸 누르면 저런 질문이 뜨는데, Passport를 고르자.

좀 있으면 영상 통화가 오는데, 받으면 된다. 필자는 못 받아서 다시 요청했더니 여권부터 찍어 올리란다.

저렇게 찍어 올리면 아까 통화를 못 받아서인지 물어본다. 그럴땐 그냥 예스라고 해주면 곧 통화가 온다.

통화를 받는 순간 카메라가 켜진다. 그리고 직원의 목소리가 들리는데, 이름을 물어본다. 한글자씩이 아니라 한번에 불러주면 된다. (성/이름 따로)

그 다음 생년월일을 물어보는데, date of birth라고 물어보니 잘 듣도록 하자. (못들어서 당황함)

그 외에 무슨 일 하냐 등을 질문하는데, 직장이 없으면 I’m not working now 등으로 대답해주면 된다.

그러면 특별한 이상이 없는 경우 확인되었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좀 기다리면 개설이 완료된다.

이런 문자가 온다.

저걸 누르면 메일과 SMS로 임시 비밀번호를 보내준다는데, 받는데 엄청 오래걸렸다. 그걸 받아야 전화번호로 로그인할 수 있다.

이제 Dukascopy 앱을 이용하자.

그러면 이런 식으로 내 계좌가 보인다.

밑의 Card 메뉴로 가면 내 카드도 볼 수 있다.

애플페이에 등록도 잘 된다.

그런데 이 상태로는 카드를 쓸 수 없다.
쓰려고 해도 승인거부가 뜰 것이다.
‘탑업’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필자는 처음에 보고 당황스러웠다.. 듀카스 앱에 요청 기록이 남은 걸 보면, GS25 전산에는 이상이 없을 터였다.

저 33 $ 자리에 있는 숫자를 보자. 그게 당신 카드의 잔액이다.

듀카스 계좌에 있다고 해서 카드로 바로 쓸 수 있는 게 아니다.
카드로 잔액을 넣어주는 과정이 필요한데, 그걸 ‘탑업’이라고 한다.

Top up을 눌러 듀카스 계좌에서 돈을 가져다 넣어주면 저렇게 돈이 들어온다.

그리고 잘 결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결제 수수료는 3%정도가 뜯기는 것 같다.

[iOS] 아이폰에서 VPNGate 이용하기

VPNGate란, 츠쿠바대학에서 만든 공개 VPN 플랫폼으로 자신의 컴퓨터를 VPN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곳입니다. 개인이 가벼운 사설 VPN 서버를 운영하는 데에 있어서 WireGuard와 함께 최적의 수단이 아닐까 싶습니다. 특히나 업체보다는 개인 소유의 서버가 대부분이라 VPN IP를 감지하여 차단하는 서비스를 우회하는 방법으로도 활용이 가능한 것이 장점입니다. 단점으로는, 직접 살아 있는 서버를 찾아서 연결해야 하는 것입니다.

이번엔 VPNGate로 VPN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작성해 보겠습니다.

https://www.vpngate.net/en/
일단 여기서 살아 있는 서버를 찾아봅시다. 컴퓨터라면 SoftEther라는 프로그램을 쓸 수 있지만, 아이폰이라면 L2TP/IPsec, OpenVPN 등을 이용해야 합니다.

두 체크박스에만 체크를 한 상태로 우측의 Refresh 어쩌구를 눌러줍시다.

여기서부터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OpenVPN

저 부분을 눌러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저 OpenVPN 버튼을 눌러 설정 파일을 내려받습니다.

https://apps.apple.com/kr/app/openvpn-connect/id590379981?l=en

App Store에서 OpenVPN 앱을 내려받습니다.

 

파일 목록에서 해당 파일을 선택 후 OpenVPN으로 엽니다.

 

이런 창이 뜨면 ADD를 누르시면 됩니다.
그 다음 창에서 한번 더 눌러주시고요.

연결이 잘 되었다면 이런 화면이 뜹니다.
연결이 안 된다면 다른 서버로 시도해 보셔야 합니다.

2. L2TP/IPsec

서버 주소만 잘 보시면 됩니다. 저 IP를 확인합시다.

설정에서 VPN 항목으로 들어갑니다.

Add VPN Configuration…을 누릅니다.

Type 항목을 터치해서 ‘IPsec’나 ‘L2TP’로 바꿔줍니다.
Description에는 원하는 이름을 넣으시면 됩니다.
Server에는 아까 확인한 IP 주소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Account, Password, Secret에는 모두 ‘vpn’을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나머지 항목은 그냥 두시고 상단의 Done을 누릅니다.

그다음 이렇게 연결을 시도해 주시면 됩니다.
정상 연결된 경우 위의 문구가 Connected로 바뀝니다.

[SQL] CIDR 목록 검색 예제(IPv4)

위키 엔진을 만들던 중 CIDR 차단 기능을 구현해야 하는데, 이걸 어찌할지 몰라 한참 고민하고 있었다. PHP 상에서 처리를 해야 하나 고민했지만 해답은 SQL에서 찾을 수 있었다.

문제 상황

나는 MariaDB를 운용하고 있었고, 테이블의 각 행에는 차단 대상으로 지정된 CIDR들이 등록되어 있었다.
| id | target_ip |
|—-|——————|
| 1 | 1.2.3.4/32 |
| 2 | 123.45.67.0/24 |
| 3 | 123.45.0.0/16 |
| 4 | 0.0.0.0/1 |

그리고 쿼리를 통해 접속한 IP가 차단 대상에 해당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그래서 특정 IP 주소를 포함하는 CIDR이 테이블 안에 있는지를 살펴야 한다.

검색 끝에 아래와 같은 쿼리를 찾았다. 원래는 CIDR로부터 범위를 추출하는 쿼리였지만 잘 개조해서 아래처럼 ‘대상 IP’를 포함하는 CIDR들을 추출할 수 있는 쿼리를 만들었다.

대상 IP를 123.45.67.8로 지정한 쿼리 결과:
| id |
| 2 |
| 3 |
| 4 |

대상 IP를 123.45.6.7로 지정한 쿼리 결과:
| id |
| 3 |
| 4 |

복붙해다 쓸거면 그냥 바로 아래 있는 걸 건져가서 적절히 수정하면 된다.

SELECT id FROM 테이블이름 WHERE INET_NTOA(INET_ATON( SUBSTRING_INDEX(target_ip, ‘/’, 1)) & 0xffffffff ^ ((0x1 << ( 32 – SUBSTRING_INDEX(target_ip, ‘/’, -1)) ) -1 )) <= ‘대상 IP’ AND INET_NTOA(INET_ATON( SUBSTRING_INDEX(target_ip, ‘/’, 1)) | ((0x100000000 >> SUBSTRING_INDEX(target_ip, ‘/’, -1) ) -1 )) >= ‘대상 IP’;

수정하기 편하라고 하이라이팅해뒀다.
SELECT id FROM 테이블이름 WHERE INET_NTOA(INET_ATON( SUBSTRING_INDEX(target_ip, ‘/’, 1)) & 0xffffffff ^ ((0x1 << ( 32SUBSTRING_INDEX(target_ip, ‘/’, -1)) ) -1 )) <= ‘대상 IP’ AND INET_NTOA(INET_ATON( SUBSTRING_INDEX(target_ip, ‘/’, 1)) | ((0x100000000 >> SUBSTRING_INDEX(target_ip, ‘/’, -1) ) -1 )) >= ‘대상 IP’;

참고 사이트: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35562416/mysql-query-to-convert-cidr-into-ip-range

n n

n

n

n

MySQL query to convert CIDR into IP range

n

I have a table which contains a column as CIDR values like 1.0.85.128/25, I have 2 other columns (start_ip_range and end_ip_range), I want to populate those 2 column FROM CIDR column Java code might

n

stackoverflow.com

n

[iOS] PDF 병합 단축어

이번에 어쩌다 만들게 된 단축어 하나를 소개한다.

 

사용법:

일단 파일 앱 등을 켜서 저렇게 병합하려는 여러 PDF 파일을 선택한다.

 

그 상태로 저 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맨 밑에 ‘PDF 합치기’라는 옵션이 있을 것이다. 그것을 누른다.

 

그러면 변환이 진행되고…

파일 이름은 가렸다.

파일 이름은 뭘로 하고 어디에 저장할지 물어보는 창이 뜬다.

폴더를 지정하고 저장 버튼을 누르면 위에서 또 다시 로딩 배너가 내려온다.

그 후 체크 표시가 뜨면 저장이 완료된 것이다.

 

 

링크:

https://www.icloud.com/shortcuts/915f2c8b8fed4a0bb93bc905bc1b5c27

 

PDF 합치기

 

www.icloud.com